|
목록으로 가기.. |
누구와 무엇(The Who & The What) |
|
역시 백수때는 토,일 연속으로 연극을 봐주는 맛이 좋다. 어제는 따뜻했는데 오늘은 왜 이렇게 바람이 부는지, 얇게 입고나왔다가 추위로 떨게 될줄은 상상도 못했다.
걷고 싶은 햇살이었는데 바람에 떨고 어제 좀 걸었다고 고관절은 또 왜 이리 통증이 있는지 걷지못하고 집에 돌아온것은 아직까지도 아쉽다.
정동세실극장은 이번에 3번째인데 갈적마다 마음에 드는 극장으로 약간은 낡은듯 하지만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차분하고 평온하다. 객석도 괜찮고 무대도 넓다. 어제와 다르게 무대장치도 괜찮은 편이긴 한데, 좌우로 길게 설정된 무대로 끝에서 연기를 하면 좀 멀게 느껴질때가 약간은 아쉽다. (노안때문에 시력도 이상해졌는데 오페라 망원경이라도 가지고 다녀야 하나..)
한국에서는 무슬림(이슬람교도?)에 대해 아는 사람들이 많을까 당연히 나는 모른다. 쿠란이란건 무엇일까
이 연극의 난해한점은 바로 이 대부분이다. 한국에서 무슬림에 대해, 선지자(무함마드)에 대해 무엇하나도 한국사회에 녹아있는것이 없다. 그러니 저들이 말하는 의미를 알듯 하면서도 깊이있게 접근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그럼에도 이 연극이 훌륭하다고 느껴지는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더라도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고 그로인한 사회 반작용이 무엇인지, 무엇때문에 대다수는 그러지 못하는지 직감적으로 와닿게 표현한다는 것이다.
다만 계속 한대목 물음표가 있는 부분이 있는데 자리나는 왜 아버지인 아프잘에게 자신(자리나)을 지운적이 있다고 했을까 이 부분은 지금도 잘 모르겠다. 전에 만났던 애인때문에 둘간의 관계에 어떤 문제가 있었던건지 어머니가 돌아가실때 문제가 있었던지.. 아무튼 자리나의 가슴한편에 깊은 상처가 있어보이지만 그 이유를 모르겠다. 그것때문에 더욱더 선지자에 대한 말들이 낯설게 느껴졌던걸까..
역사가 오래된 종교들의 성서들은 대부분 벽에다 대고 말하듯 너무 먼 세상의 언어로 포괄적이며 뜬구름 잡는 말들을 한다. 이것을 접하는 신도들이 자기 입맛에 맞게 해석할테니. 마치 점쟁이가 듣고자 하는 말들로 현혹하듯 생각을 현혹하는 말들로 가득하다. 이것들을 한발짝 떨어져서 보면 벽창호도 이런 벽창호가 없지만 그 시대엔 그게 먹혔고 현 시대엔 중간자(목사,신부,중 등) 역활을 하는 사람들이 알맞고 듣고 싶도록 해석해주는거겠지만 자리나는 이러한 것들에 신물이 난것인가?
요즘 사이비교단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한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그 중 JMS(정명석)관련하여 나오는데 어떤 인터뷰에서 아무리 성경을 봐도 모르겠는데 JMS는 이것을 쉽고 명쾌하게 해석해줘서 따르게 되었다는 말이 나온다. (성경을 천번 읽으면 가능하려나 이 사람은 천번 읽었다던데) 이 인터뷰를 보면 사기꾼이던 그렇지 않던 인도자(중간자)는 반드시 듣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메세지를 전달할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된다고 본다. 그러지 않으면 수많은 사람들이 종교의 교리로 방황하게 된다.
자리나는 이렇게 방황하던 사람으로 보인다. 그 시발점은 애인과의 이별때문일테고 아버지의 반대도 큰 이유를 차지하겠지만 좀더 객관적으로 종교를 다가서게되어 좀더 인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이상한 존재가 아닌 인간과 함께 했던 인간적인 존재로서의 선지자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또 하나의 도전이며 반항일수 있고 이단처럼 느껴질수도 있다. 그렇기때문에 자리나의 소설과 식구들에게 사람들이 대항한다. 때론 폭력적 방법까지 동원하며 물론 연극에서 이런 장면이 나오진 않는다. 단지 부녀의 대화속에서만 지나가듯 나올뿐인데 그 상황은 한국사회에서도 충분히 그려지는 현상이다.
이러한 공통점들 때문에 내가 무슬림에 대해 전혀 모르면서도 연극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인간의 배타적 성향과 연인간의 사랑, 부모와 자식, 각족간의 사랑이 포괄적으로 넓게 표현되는 연극이다.
부모자식의 사랑은 지독한 면이 있어서 이해되지만 솔직히 자리나 부부의 대화는 좀 이상향에 가까운데 논리적이며 따뜻하면서 막힘이 없다. 짜여진 느낌이 너무 강하게 든다는게 좀 아쉽다면 아쉽다.
평범한 가족들의 일상이고 특별함도 없고 자잘한 사건 사고도 거의 없이 단조로운 대화가 초중반까지 이어지다보니 중반까지는 지루함과 졸음이 생기지만 자리나의 소설로 고조되기 시작할때부터 끝까지는 숨쉴틈 없이 진행된다. 후반부부턴 너무 강하게 지속되는 면도 있고 대사량도 많기때문에 머리속이 복잡해지지만 내용 자체가 어렵지 않아서 큰 무리는 없다.
그런데 어제도, 오늘도 극장을 나올때의 뿌듯함? 홀가분함? 벅참? 뭐 그런것이 없다. 한국은 아직 큰 똥덩어리를 처리하지 못해서 그런것일까.. 그래서 뭘 해도 먹먹한것일까..
출연 : 조은원, 정연종, 이승민, 박수빈
**본 자료를 허가없이 사용,복제,배포 행위를 금하며 적발 시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
|